Raspberry Pi_Kor_03.4.1 SD 카드

.4 저장장치

컴퓨터에서 저장장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과정에서 보관이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Raspberry Pi에서는 SD card를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외부의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3.4.1 SD 카드

Raspberry Pi에서는 SD card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SD card가 반드시 필요하다.

SD card를 구입할 때는 용량이 최소 4 GB 이상은 되어야 하며, 보통 8 GB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서 시스템에 많은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많은 자료를 저장하고자 하면 16 GB나 32 GB 용량의 SD car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Raspberry Pi_Kor_03.3 방열판

.3 방열판

Raspberry Pi는 ARM계열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CPU, GPU 등의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정상적인 운영환경에서는 발열이 거의 없어서, Raspberry Pi는 처음부터 냉각팬 등 별도의 냉각기능이 필요하지 않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그런데 Raspberry Pi에는 overclock 이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을 사용하면 원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정상적인 처리속도를 훨씬 초과한 속도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용하면 프로그램 처리속도는 빨라질 수 있지만, 처리 속도에 비례하여 프로세서에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시스템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overclock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줄 방법이 필요한데,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방열판이다.

Raspberry Pi_Kor_03.2 본체 케이스

3.2 본체 케이스

Raspberry Pi는 본체의 크기가 아주 작다. 본체 board에는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4개의 hole이 마련되어 있어서 다른 기계나 설비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board 자체를 보호해 주는 부분이 없어서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board를 보호해주고, 외부에서 먼지나 오염물질로부터 본체를 보호해 주는 case가 필요하다.

Raspberry Pi_Kor_03.1 Raspberry Pi 모델 선택

3.1 Raspberry Pi 모델 선택

Raspberry Pi를 구매할 때는 사용목적을 명확히 해야 한다. 특정의 제한된 목적으로만 사용하고자 하면 상대적으로 처리능력이 떨어지는 하위 model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 PC 처럼 범용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여러 가지 기능이 있고, 고급 성능을 지원하는 최신 상위 model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아래는 Raspberry Pi model 별로 간단한 특징을 살펴보고, 어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Raspberry Pi_Kor_03.0 Chapter 3 장비/부품 구매 및 설치

Chapter 3 장비/부품 구매 및 설치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Raspberry Pi를 운용하기 위해서 어떠한 장치들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고, 그들을 Raspberry Pi에 어떻게 연결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Raspberry Pi 모델 선택

■ 본체 케이스 및 방열판

■ 저장장치

■ power 장치

■ network 장치

■ 입력 장치

■ 비디오 출력

■ camera

■ 외부 interface 장치

Raspberry Pi_Kor_02.8 GPIO

2.8 GPIO

Raspberry Pi는 단순히 시스템 내에 있는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terface를 통하여 시스템 외부의 다양한 기기와의 통신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외부 기기를 통해서 입력을 받거나 출력을 할 수도 있으며, 외부 장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외부의 sensor로부터 각종 측정 값을 받아서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Embedded Program을 작성하여 외부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직접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Raspberry Pi_Kor_02.7.3 Bluetooth 장치

2.7.3 Bluetooth 장치

최근에는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Bluetooth를 지원하고 있는데, Raspberry Pi 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Raspberry Pi 3 model B 부터 Bluetooth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휴대폰 등 외부의 Bluetooth 장치를 이용하여 Raspberry Pi에 접속하여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aspberry Pi가 제공하는 Bluetooth는 Bluetooth 4.1과 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한다.

Bluetoot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추가 작업이 필요한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11.8 Bluetooth 설정 및 연결]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Raspberry Pi_Kor_02.7.2 Wi-Fi 장치

2.7.2 Wi-Fi 장치

Raspberry Pi에 네트워크 접속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Raspberry Pi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보다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훨씬 유리한 경우가 많이 있다.

Raspberry Pi 3 model B 부터 802.11 b/g/n Wireless LAN을 지원하는 Wi-Fi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Wi-Fi 접속 장치를 추가로 구매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LAN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신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Raspberry Pi_Kor_02.7.1 Ethernet port

2.7 network 장치

2.7.1 Ethernet port

Raspberry Pi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면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점차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Raspberry Pi에는 LAN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Ethernet port가 제공되고 있다. Ethernet port는 2014 중반에 발표된 Raspberry Pi model B+ 부터 표준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고속 100Mbit/s Ethernet을 지원한다. network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면 model A 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Raspberry Pi_Kor_02.6.2 USB Port의 전력 제약

2.6.2 USB Port의 전력 제약

USB device들은 100mA 부터 500mA까지 100mA 단위로 필요한 전력 수준이 정해져 있다. USB 장치가 컴퓨터에 처음 연결될 때 자신이 필요한 전력 요구사항을 USB Host에 알려준다. 이론적으로 USB 장치에서 실제 사용되는 전력은 자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한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