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2 “cal” 명령과 “ncal” 명령
이 명령은 달력을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cal” 명령은 보다 단순한 형태로 전통적인 달력 형식으로 보여주는데 반하여, “ncal” 명령은 다양한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고, 다양한 op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cal” 명령에 대한 사용 형식을 설명하고 있다.
10.10.2 “cal” 명령과 “ncal” 명령
이 명령은 달력을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cal” 명령은 보다 단순한 형태로 전통적인 달력 형식으로 보여주는데 반하여, “ncal” 명령은 다양한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고, 다양한 op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cal” 명령에 대한 사용 형식을 설명하고 있다.
10.10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
10.10.1 “date” 명령 – 시간정보 조회 및 변경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time zone은 “raspi-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9.2 시스템 설정 방법]의 설명을 참고하기 바란다.
시스템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네트워크의 time server에 연결하여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 작업을 시스템이 booting할 때마다 자동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시간을 변경한 경우에도 다음에 booting을 할 때는 time server의 시간으로 다시 재설정되게 된다.
10.1.4 명령 실행이력 활용
terminal에서 작업을 할 때는 여러 개의 파일에 대해서 반복적인 작업을 하거나, 반대로 특정 파일에 대해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할 때 이전에 어떤 작업을 실행했는지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는 입력을 잘못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명령을 일부만 수정하여 다시 작업하기를 원할 때도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명령을 실행할 때 이전에 실행한 명령의 이력을 파악하면 여러 가지로 편리한 점이 많다.
10.1.3 quote 규칙
10.1.3.1 quote 규칙 개요
쿼우팅(quoting)이란 문자열을 따옴표로 묶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문자열 안에 특수 문자가 들어가 있을 경우, 쉘이나 쉘 스크립트에 의해 그 특수 문자가 재해석이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특수문자”는 어떤 문자가 가진 글자 그대로의 뜻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한 문자를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와일드 카드 문자인 “*”는 특수문자이다.
10.1.2 Shell 특수 키
Shell에서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전에 특수 키가 정의되어 있다.
키
기능
설명
ctrl+d
입력 종료
표준입력에서 들어오는 입력을 끝냄.
logout 또는 exit 과 동일함. 쉘에서 로그 아웃 (exit와 비슷함).
“EOF” (파일끝, 포그라운드 작업을 끝냄).
ctrl+c
프로그램 종료
실행 중인 프로그램 종료
ctrl+z
background 전환
실행중인 작업을 background로 전환하고 잠시 중단.
ctrl+s
화면 출력 중단
표준 화면에 대한 출력 중지
ctrl+q
화면 출력 재시작
ctrl+s로 중단된 화면 출력 재시작
10.1 명령 일반
10.1.1 표준 입력 및 출력
Shell에서는 실행에 필요한 입력 자료가 들어오는 입력장치와 처리 결과가 표시되는 출력장치에 대해서 각각 표준적인 장치가 이미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항상 표준 입력장치에서 자료가 입력되고, 처리 결과는 항상 표준 출력장치로 나가게 된다.
Chapter 10 Shell 명령 이해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Shell 명령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Shell 명령에 대한 기초를 설명하고, Shell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며, 그 다음에 가장 기초적인 Shell 명령에 대해서 설명을 진행해 갈 것이다. 여기서 모든 Shell 명령을 다루지는 않을 것이며, 특정 주제와 연관된 명령은 그 주제를 다룰 때 같이 논의하도록 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명령 일반
■ Shell 환경
■ Shell 과 Profile
■ 기초 명령
■ 연산 처리 관련 명령
■ 선택적 실행 처리 관련 명령
■ 프로그램 실행 관련 명령
■ 입력 및 출력 조정 관련 명령
■ 자료 조작 관련 명령
■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
9.9 network 관련 설정
여기서는 네트워크에 대한 환경 설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
■ Hostname 설정
Hostname은 컴퓨터 자체에 부여된 이름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할 때는 다른 컴퓨터가 현재의 그 컴퓨터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이름이다. Raspberry Pi 시스템은 설치와 동시에 “raspberrypi”라는 이름이 기본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를 변경하고자 하면 booting 항목을 설정할 때 다른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다.
9.10.2 I2C (Inter-Integrated Circuit) 설정
I2C 설정을 위해서는 [Advanced Options] 항목을 이용한다.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여러 가지 option 사항을 선택하는 다음 화면이 시작된다. 여기서 [I2C]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버튼을 누른다.
9.10 주변기기 interface 장치 설정
여기서는 Raspberry Pi가 외부의 주변기기와 연동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도로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interface 장치에 대한 환경설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한다.
이 부분은 최고 전문가 급의 주제로 여기서 설명하기는 부적절하여 추후 다른 책에서 상세히 설명할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