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_Kor_10.4.2 “echo” 명령

10.4.2 “echo” 명령

이 명령은 지정된 텍스트를 표준출력에 표시해 준다. 일반적인 작업에서는 필요가 없는데, bash script를 작성할 때 여러 가지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때 많이 사용한다.

Raspberry Pi_Kor_10.4.1 “clear” 명령 – 화면 지우기

10.4 기초 명령

10.4.1 “clear” 명령 – 화면 지우기

Shell Terminal에서 작업을 하면 화면에 다양한 내용들이 함께 표시된다. 화면의 내용이 많거나 복잡할 경우 불편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현재의 Terminal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고 새롭게 시작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렇게 화면의 내용을 모두 지우고 새롭게 시작하고 싶을 때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

Raspberry Pi_Kor_10.3.2 profile 적용 순서

10.3.2 profile 적용 순서

시스템이 시작되고, 특정 사용자가 logon했을 때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은 여러 가지의 profile이 우선순위에 따라 통합된 최종 결과 값이다. 기본적으로 global profile 보다는 local profile이 우선 순위가 있고, user profile 보다는 application profile이 우선순위가 높다.

Raspberry Pi_Kor_10.3.1 profile 종류

10.3 Shell과 profile

10.3.1 profile 종류

Raspberry Pi 시스템에는 수많은 파일과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시스템에서 어떤 작업을 할 때는 이러한 항목들이 일정한 통제하에 서로 상호 관계를 맺으면서 필요한 작업을 하게 된다. 특정 작업을 할 때 어떤 파일과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그 결과는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일정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게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인지, 어떤 자료를 사용할 것인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인지를 지시하여 사용자의 작업환경을 일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Raspberry Pi_Kor_10.2.2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10.2.2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시스템을 booting 하고 특정 사용자가 logon 하면, 사용자에게 사전에 정의된 형식으로 화면을 보여 주고, 사용자가 어떤 명령을 지시하면 사전에 지정된 방식으로 그 명령을 처리해 준다. 이때 사용자는 사전에 정의된 내용을 확인하여 구체적인 처리 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사전에 정의된 많은 자료들을 참조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들 중에서 시스템이 자주 사용하는 중요한 변수들에 대해서 그 값을 특별한 장소에 저장하고 있는데, 이것을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라고 한다.

Raspberry Pi_Kor_10.2.1 변수(variable)

10.2 Shell 환경

10.2.1 변수(variable)

10.2.1.1 변수(variable)란?

변수(variable)는 컴퓨터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이다. 파일과 다른 점은 파일에 있는 컴퓨터가 종료된 이후 다시 컴퓨터를 켜면 그대로 자료를 유지하고 있는데, 변수에 있는 자료는 컴퓨터가 종료되면 소멸되고 없어진다는 것이다.

Raspberry Pi_Kor_10.10.2 “cal” 명령과 “ncal” 명령

10.10.2 “cal” 명령과 “ncal” 명령

이 명령은 달력을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cal” 명령은 보다 단순한 형태로 전통적인 달력 형식으로 보여주는데 반하여, “ncal” 명령은 다양한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고, 다양한 op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cal” 명령에 대한 사용 형식을 설명하고 있다.

Raspberry Pi_Kor_10.10.1 “date” 명령 – 시간정보 조회 및 변경

10.10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

10.10.1 “date” 명령 – 시간정보 조회 및 변경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time zone은 “raspi-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9.2 시스템 설정 방법]의 설명을 참고하기 바란다.

시스템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네트워크의 time server에 연결하여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 작업을 시스템이 booting할 때마다 자동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시간을 변경한 경우에도 다음에 booting을 할 때는 time server의 시간으로 다시 재설정되게 된다.

Raspberry Pi_Kor_10.1.4 명령 실행이력 활용

10.1.4 명령 실행이력 활용

terminal에서 작업을 할 때는 여러 개의 파일에 대해서 반복적인 작업을 하거나, 반대로 특정 파일에 대해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할 때 이전에 어떤 작업을 실행했는지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는 입력을 잘못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명령을 일부만 수정하여 다시 작업하기를 원할 때도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명령을 실행할 때 이전에 실행한 명령의 이력을 파악하면 여러 가지로 편리한 점이 많다.

Raspberry Pi_Kor_10.1.3 quote 규칙

10.1.3 quote 규칙

10.1.3.1 quote 규칙 개요

쿼우팅(quoting)이란 문자열을 따옴표로 묶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문자열 안에 특수 문자가 들어가 있을 경우, 쉘이나 쉘 스크립트에 의해 그 특수 문자가 재해석이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특수문자”는 어떤 문자가 가진 글자 그대로의 뜻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한 문자를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와일드 카드 문자인 “*”는 특수문자이다.